티스토리 뷰
목차
정부는 내수 진작과 민생 안정을 위해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전국민 대상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특히 비수도권 거주자에게는 3만원,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거주자에게는 5만원을 추가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되며, 많은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나는 얼마까지 받을 수 있을 지 아래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
- 전 국민 대상 15~50만원 규모 소비쿠폰 지급
- 지급 방식: 지역화폐, 선불카드, 카드 포인트 등
- 사용처: 전통시장, 음식점, 소상공인 상점 등
- 백화점, 대형마트, 유흥업종 등은 제외 예정
📍 비수도권은 어디?
서울, 인천, 경기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비수도권입니다.
예: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전 지역 포함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은?
정부가 지정한 84개 시·군이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으로 분류됩니다.
예시: 강원 고성·삼척·양양, 경북 봉화, 전남 고흥 등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대상 | 기본 지원 | 취약계층 추가 | 비수도권 추가 | 농어촌 추가 | 최대 금액 |
---|---|---|---|---|---|
일반 국민 (수도권) | 25만원 | - | - | - | 25만원 |
일반 국민 (비수도권) | 25만원 | - | +3만원 | - | 28만원 |
취약계층 (농어촌) | 25만원 | +20~25만원 | +3만원 | +5만원 | 최대 55만원 |
⏰ 지급 시기 및 방식
- 1차 지급: 7월 중순부터 시작
- 2차 지급: 8월 예정
- 지급 수단: 카드 포인트, 지역화폐, 선불카드 중 선택 가능
🔎 내 지역이 포함될까? 확인 방법
비수도권 여부는 주소지가 서울, 인천, 경기를 제외한지 확인하면 됩니다.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은 각 시·군청 홈페이지 또는 정부 고시문을 참고하세요.
📢 마무리 요약
- 전 국민 기본 25만원 지급
- 비수도권 거주자 추가 3만원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거주자 추가 5만원
- 기초수급자 등 취약계층은 최대 55만원까지 가능
지급 대상인지 꼭 확인하시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동참해보세요!





강원도는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이 포함되며,
경상북도는 군위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예천군,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이 해당됩니다.
경상남도에서는 거창군, 남해군,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밀양시, 고성군이 지정되었고,
전라북도는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이 포함됩니다.
전라남도는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순천시,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등 총 16개 지역입니다.
충청북도는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음성군, 제천시, 진천군이며,
충청남도는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이 포함됩니다.
그 외에도 인천광역시의 강화군, 옹진군, 제주도의 서귀포시도 농어촌 인구소멸지역으로 포함됩니다.
🔹 비수도권 주민 → 1인당 +3만 원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주민 → 1인당 +5만 원
더불어민주당은 6월 30일, 제2차 추경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비수도권·농어촌 인구소멸지역에 대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추가 지원안을 발표했습니다
1. 민생회복 소비쿠폰이란?
- 정부는 내수 진작 및 민생 안정화를 위해 전 국민 1인당 15만~50만 원 규모의 소비쿠폰을 지급
- 기본 25만 원, 소득 상위 10%는 15만 원, 취약계층 최대 50만 원
- 지급 방식은 지역화폐,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포인트 등으로 지급
- 사용처는 전통시장·동네상점·음식점 등 지역경제 중심이며, 대형마트·백화점·유흥업종 등은 제외될 가능성
2. 어디가 → 비수도권 vs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 비수도권
- 수도권(서울·인천·경기) 제외 지역 모두
- 강원,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 전국 광역·기초 지자체 해당
🌾 농어촌 인구소멸지역
- 전국 84개 시·군 약 411만 명 거주 지역
- 예: 경북 봉화·인천 강화 등 인구감소·고령화율 높은 지자체 포함


























